본문 바로가기
디자인 고찰

아파트 인테리어 트렌드

by 유야무야호 2023. 2. 10.
반응형

 이슈

코로나와 함께한 지난 3년간 소비자의 심리가 변하면서 아파트의 인테리어 트렌드도 변화했습니다. 

부산과 서울을 오가며 대형 시공사들의 구조적 특징을 알아보았는데 코로나19로 촉발된 디자인 변화가 눈에 띄었습니다.

아파트 인테리어
사회적 Issue

코로나 여파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주거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자연스럽게 인테리어에 눈을 많이 돌리게 됐죠. 슬세권, 레이어드홈, FIRE족, 기승전재미 등의 신조어들이 탄생했고, 이런 신조어들의 공통점은 일률적인 삶에서 탈피해서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개인의 삶과 가장 밀접한 '집'이라는 공간에 밖에서 하던 행위들을 끌고 오게 됩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어떤 특징들이 나타났는지 키워드로 정리해 볼게요.

 

 인테리어 트렌드 키워드

인테리어 트렌드
트렌드 키워드

인테리어의 전반적인 키워드는 공간의 다기능화, 웰니스, 고급화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특히 공간의 다기능화(Zone:Multi-Use)는 '레이어드홈' 트렌드와도 일치하는데 집이라는 공간 안에서의 활동종류가 끊임없이 변화함에 따라 공간을 변형할 수 있는 가변형 구조의 채택이 눈에 띕니다. 우선 평면과 단면, 색채, 마감재, 조명 등의 순으로 시공사들의 사례를 들어 알려드릴게요.

 

 사례

먼저 평면과 단면 계획의 특징입니다. 

① 가변형 벽체

입주 전 가변형 벽체에 대한
설치 또는 철거에 대한 선택권을 입주자에게 부여하여 다양한 공간변화가 가능한 특징이 있어요.
② 현관 팬트리

기존 신발장 개념을 넘어 취미용품 등 다양한 물품 보관이 가능한 정돈된 대형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요.


③ 우물천장 확대

일반 아파트의 특징상 천고를 높이기 어렵기 때문에 우물천장의 면적을 확대해 실내에 개방감을 부여해요.
④ 발코니 특화

과거의 발코니 확장과 다르게 발코니 면적을 확대하거나 자연요소를 도입해서 고급지고 쾌적한 실내공간을 조성해요.

인테리어 트렌드

인테리어 트렌드

e편한세상 주촌(김해)
드림하우스 갤러리(부산)
힐스테이트 삼성(서울)
더샵 갤러리(서울)

그다음으로는 색채계획이에요. 주로 공간을 꾸미기에 적합한 배경역할을 위해서 화이트 톤의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트렌드예요. 또한 내추럴 컬러를 사용해서 공간을 따뜻하게 구성하는 것도 또 다른 트렌드예요.

인테리어 트렌드
인테리어 색채 트렌드

마감재 트렌드는 세라믹패널, 고밀도 석재패널(락패널)이나  광폭 원목마루 등의 자연재료의 물성을 강조하는 대형마감재를 공간 곳곳에 사용해서 고급스러움을 연출해요. 

인테리어 트렌드
좌측 광폭원목마루(더샵 갤러리), 우측 락패널(e편한세상 주촌) 적용 사례

또한 히든키친 디테일을 적용하는 공간들이 부쩍 많이 보이는데요, 가열대와 조리대를 요즘 빌트인 냉장고처럼 빌트인 해서 조리하지 않을 때는 부엌과 거실을 완전히 분리해서 깔끔한 인상의 거실주방 공간을 연출해요.

인테리어 트렌드
히든키친 적용(힐스테이트 삼성)

마지막으로 조명계획은 실제 인테리어 리모델링의 경우에는 라인조명과 같이 엣지있는 메인등을 시공하는 게 요즈음의 트렌드이지만 시공의 어려움과 호불호의 문제 때문에 일반 시공사에서 아파트를 공급할 때에는 잘 사용하지 않아요.

그래서 분양아파트에서는 시공이 비교적 쉽고 디자인 효과가 있는 우물천장 간접조명과 실링팬(ceiling pan), 그리고 디밍시스템을 도입해요. 공간 사용의 필요에 의해서, 그리고 무드를 한껏 끌어올리기 위해서죠.

인테리어 트렌드
우물천장 간접조명과 IoT활용 디밍(Dimming)시스템

이상으로 아파트 인테리어 트렌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