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무후무한 디자인의 테슬라(Tesla) '사이버트럭(Cyber Truck)' 출시일
테슬라의 미래형 전기 픽업트럭인 '사이버트럭'의 출시를 모르는 사람이 이제는 없을 것입니다.
'사이버트럭'은 2019년 11월, 첫 프로토타입이 공개되었을 때 실로 충격적인 디자인으로 세간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첫 공개 이후 출시일이 2021년에서 2022년, 그리고 또 2023년 중순으로 출시일이 자꾸 미뤄지고 있어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은 소위 '잘 나가는' 자동차 회사들끼리 서로 디자인을 벤치마킹하며 비슷하면서도 특색 있는 디자인들을 전개해 나갈 때, 정공법이 아닌 변칙적인 마케팅을 선택하였습니다. 이런 독특한 디자인 마케팅은 흔한 디자인이 싫증난 소비자들에게 오히려 구매욕구를 불러일으켜 100만 대 이상의 사전예약 열기가 매우 뜨거웠습니다. 픽업트럭은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차종 중 20%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많은데, 테슬라의 선택과 집중이 빛을 발했던 것 같습니다. 특히 기존의 트럭 디자인은 오랫동안 일률적인 디자인을 고수해왔고 이점을 간파하여 대중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습니다. 심지어 테슬라에서 전개하던 유선형의 유려한 형태도 벗어던지고 각진 형태의 이전에 없던 디자인을 하였습니다. 취향에 따라 다소 호불호가 나뉠 수 있는 디자인이지만, 자동차 역사에 한 획을 그을 디자인이라는 것은 틀림없을 것입니다.
사이버트럭 : 외부 디자인(Exterior Design) 분석
이 자동차를 봤을 때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매우 단단한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 패널로 만든 우주선 같은 형태이며 미래형 장갑차 같은 이미지를 풍긴다. 테슬라의 CEO 'Elon Musk'는 이 독특한 외관디자인을 영화 블래이드 러너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합니다.
사이버트럭은 픽업트럭 시장에서 눈에 띄게 달라져야 한다는 생각과 비용절감이라는 두 가지 제약조건에서 탄생한 만큼 매우 단순하고 추상적이며 급진적인 형태를 띠는 해결방법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비용절감을 위해 기계로 쉽게 찍어낼 수 있는 '납작한 철판'을 소재로 채택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차의 최우선 요건은 안전이라는 사실입니다. 철판이 구부러지지 않기 위해선 더욱 두꺼워져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또 무게가 추가되어 연비가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모두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 디자이너는 굉장한 생각을 해냅니다. 바로 교량의 '트러스(Truss)' 구조를 적용한 것입니다. 차량 상단을 보면 뾰족한 선으로 면이 모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옆에서 봤을 때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앞유리 쪽과 후미등으로 연결되는 뒷유리 쪽, 그리고 휠베이스가 정확히 삼각형 트러스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것은 물리학에서 정확한 하중 분배를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 구조를 통해 전에 보지 못한 독특한 외관과 무게에 대한 대책을 찾아 연비 문제와 비용문제를 해결한 디자인 결과물이 탄생했습니다.
사이버트럭 : 인테리어 디자인(Interior Design) 분석
사이버트럭의 인테리어는 외관디자인에서 볼 수 있는 단순함을 통일성 있게 적용하여 전반적으로 넉넉한 공간이 특징입니다. 이 미니멀리즘 스타일 내부 디자인은 픽업트럭에 매우 적합한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 자동차 시장의 20%가 픽업트럭인 이유는 비싼 인건비에서 비롯됩니다. 인건비가 비싸기 때문에 식료품, 가전제품, 가구 등 생활에 필요한 많은 것들이 직접 운반을 하는 DIY 문화가 일반화되었습니다. 따라서 물건을 싣기에 가장 좋은 내부 환경은 가능한 넓고, 더러워져도 쉽게 청소할 수 있으며 복잡한 기계장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런 이유로 테슬라 사이버트럭은 주행에 필요한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내부 장식요소를 극단적으로 최소화하고 숨김으로서 미니멀한 테마를 전개합니다. 한 가지 특이사항은 최초 공개한 인테리어 디자인에서는 요크(Yoke) 스타일의 스티어링휠이 적용되었지만, 실제 양산 모델에서는 일반적인 둥근 디자인을 적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것이다. 미국 현행법상 요크(Yoke) 형태의 스티어링휠 사용은 불법이기 때문입니다.
'디자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 컨셉 정하는 방법, 공간디자인과 브랜딩(2탄 시네틱스) (0) | 2023.01.23 |
---|---|
디자인 컨셉 정하는 방법, 공간디자인과 브랜딩(1탄 유추) (0) | 2023.01.21 |
메타버스, e 모델하우스 적용 (0) | 2023.01.14 |
2023 아파트 인테리어 트렌드에 대한 고찰 (0) | 2023.01.09 |
올해의 컬러 트렌드(2023)와 색 조합 추천! (0) | 2023.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