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직장인 스트레스 다스리는 방법

by 유야무야호 2023. 1. 15.
반응형

스트레스란?

현재 당신이 일을 하고 있다면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알 것입니다. 중요한 업무가 뜻대로 되지 않고, 먼저 처리해야 하는 중요한 일을 제쳐두고 윗선의 지시로 중요하지 않은 일에 얽매여있기도 하고 직장동료 간의 불화가 생기기도 합니다. 모든 일에는 마감기한이 있으며 시간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예측하지 못한 일들이 자꾸 생겨 마감기한에 쫓기는 상황이 반복되기도 합니다. 또 누구보다도 열심히 시간을 할애하며 일을 하고 나름의 성과도 내지만 의사소통을 잘하는 동료에게 승진기회를 매번 빼앗겨버리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들에서 우리는 스트레스를 느낍니다.

스트레스는 정신적, 신체적 자극을 일으키는 심리적, 신체적 반응에 대한 적응을 일컫습니다. 또한 스트레스 상태란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신체기관에 부담을 주어 신체나 정신의 균형이 위협받는 상태를 말하며 어떤 적응을 필요하게 하는 자극에 대한 신체의 반응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스트레스 호르몬이라고 부르는 코르티솔(Cortisol)이 부신에서 많이 급격하게 분비되어 수치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때 호르몬의 불균형이나 뇌세포의 손상 또한 발생하면서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신체뿐 아니라 감정과 정신건강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기본적인 스트레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일까요? 직무 스트레스직무요건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바람과 불일치할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입니다. 다시 말해, 본인이 맡은 일에 대해 해내야 할 것들을 본인의 역량과 가지고 있는 자원, 인간관계 등을 황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데 원하는 결과가 도출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신체, 정신적 유해 반응입니다. 우리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보다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직무스트레스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직장인 스트레스 요인

직장인 스트레스의 요인

직장인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요인 중 가장 큰 요인은 직장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51.2%)입니다. 그다음으로 업무스트레스(24.8%), 야근(11.2%),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력저하(6.2%), 회식(5.4%) 등이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즉 회사 생활을 하면서 일과 관련된 스트레스보다 사실은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취업포털 커리어'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 중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약 60%로 직무 스트레스(약 40%) 보다 많은 스트레스의 요인인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세대 차이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오류와 수직적인 조직문화에 의한 강압적인 지시 등에 의한 문제가 심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변화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변화는 뇌의 경우, 집중력 저하, 수면장애, 두통 등이 있으며 심장의 경우, 혈압과 심박이 상승하여 가슴이 두근거리고 현기증이 나기도 합니다. 위의 경우, 위경련과 소화장애, 위액의 식도역류, 메스꺼움, 구토, 오심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의 경우 과민성대장증후군, 설사, 변비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면역계에서도 이상 반응이 발생하는데 면역력이 약해져 감염에 취약해지고 암유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심리적인 변화로는 불안감, 걱정, 근심, 짜증, 신경과민, 분노와 좌절, 우울감 등이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위험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직장 스트레스 다스리는 법

스트레스의 가장 많은 요인인 사람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본인의 생각과 태도를 먼저 변화시켜야 합니다. 가령 '다른 사람들은 모두 나를 좋아해야 한다.'라는 생각에서 '나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 만큼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나도 다른 사람을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이다.'라고 생각을 변화시켜야 합니다. 또 누가 말을 하고 있을 때 '나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라는 생각에서 '사적으로 중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을 수도 있고 내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사실 가장 좋은 방법은 내 일에만 집중하는 것이 더 생산적일 수 있습니다. 일에 의한 스트레스의 경우도 생각하는 방법을 변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나는 잘해야만 한다.'라는 생각에서 '나는 잘할 수도 있고 못할 수도 있고 실수할 수도 있다.'라고 생각을 바꾸어 자신을 몰아붙이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또한, '나는 인정받아야 하기 때문에 일을 못하겠다는 말을 절대 할 수 없다.'라는 태도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한계가 있으며 할 수 없는 것들은 스스로 인정한다.'라는 태도로 바뀌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목적이고 어떤 직장이든 우리는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해야 합니다. 피할 수 없는 직장 생활에서 우리는 적절한 감정표현과, 자기표현, 그리고 스트레스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는 연습을 하여 스트레스를 흘려버려 조금 더 편안한 직장생활을 해봅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