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 이슈

스택스(STX)코인 급등 이유와 전망

by 유야무야호 2023. 2. 27.
반응형

스택스 코인 호재

안녕하세요, 유야무야호입니다.

오늘은 연일 상승중인 스택스(STX) 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 글을 보시는 코인 투자자들은 개별 코인들이 갖고 있는 펀더멘탈이나 기능보다도 차트의 흐름이나 각 코인들의 호재에 더욱 집중하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고요. 사실 코인이라고 하는 것이 아직까지는 일반 기업이 발행하는 주식처럼 눈에 보이는 상품과 회사가치를 보고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닌 투기성이 짙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난해 또는 2021년에 투자했던 분들은 눈물을 머금고 관망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그렇게 당하고만 있지 않겠다는 심정으로 실체화된 코인에 더욱 투자하는 경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앞전에 제가 작성했던 도지코인이나 폴리곤코인의 전망과 마찬가지로 실제 기업과 협업하는 것이 호재 소스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이 실체화라는 것의 반증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럼 스택스 코인 급등 이유와 전망을 알려드리기 앞서 현재 코인시장의 큰 흐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코인 시장의 큰흐름

먼저 비트코인과 알트코인들의 관계입니다. 코인 시장은 여전히 대장인, 비트코인의 흐름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저시총 코인은 비트코인의 등락과 함께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마치 어미새를 따르는 새끼새들처럼요. 지지부진했던 비트코인의 시세가 2023년 연초부터 반등이 시작되면서 코인시장 전체가 상승을 하며 코인시장의 특징인 큰 변동성의 장점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2월15일 비트코인이 8.29% 상승하며 엄청난 급등을 했는데요, 연초 2,000만 원 초반의 가격을 형성하다 3,200만 원 선을 뚫고 현재 살짝 소강 중인 상태입니다. 

또 하나는 비트코인과 미국 기술주와의 관계입니다. 2022년부터는 비트코인의 시세흐름이 미국 기술주의 영향을 많이 받고있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 두 가지가 오르면 덩달아 저시총의 알트코인들도 훈풍을 받습니다. 

미국 기술주 상승 → 비트코인 상승 → 알트코인 상승

위의 순서로 흐름이 형성됩니다. 변동성이 회복된 코인시장은 이렇게 한 묶음으로 움직이는 경향성을 띕니다. 여기서 다음단계는 무엇일까요?

미국 기술주 상승 → 비트코인 상승 → 알트코인 상승 → 시총 1조원 대 코인(스택스)의 상승

다음 단계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현재 연일 고가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스택스 코인의 흐름이 그렇습니다.

스택스 코인 호재스택스 코인 호재

 

 

 스택스 코인의 흐름

스택스 코인은 반등이 시작된 2월 18일 경에 시총이 불과 6,000억 원이었습니다. 그때부터 거래량이 터지면서 이틀 후인 2월 20일 경에는 시가 총액이 1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시가총액이 1조 원이 된 순간 '1조 원 클럽'에 들어선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상승을 멈추지 않는 추진력 뱃지를 얻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조정이 들어와도 시가총액이 1조 원 아래로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당시 상황을 겪어 보신 분은 알겠지만 가격이 하락됐을 시점에도 시총이 1조 원 아래로 가지 않았다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그렇게 거래가격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지만 연일 급등하여 시가총액이 1.7조원에 이르렀고, 거래가격은 450원대에서 1200원대로 약 280%가 오르는 기염을 토합니다. 현재 코인시장은 비단 스택스 코인뿐 아니라 1조 원에 가깝게 다다르고 있는 코인들을 살펴볼 때 입니다. 주식 시장보다도 이런 식의 패턴이 코인 시장에서는 흔히 보입니다. 더군다나 비트코인이 3,200만 원 선을 단단히 지지하고 있으니 1조 원 코인과 알트코인들은 하락을 하더라도 금새 다시 반등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스택스 코인 급등 이유와 전망

위에 알아본 것은 기술적인 반등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실질적으로 스택스 코인에 몰린 이유가 1조 원 대 코인이기 때문 말고는 무엇이 있을까요? 큰 이유 하나를 설명하자면 비트코인과 연동되는 PoX 알고리즘이 채용됐다는 이유입니다. 복잡한 설명 대신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스택스 코인을 발행하는데 있어서 비트코인을 사용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코인시장에서 가장 안정한 자산인 비트코인을 등에 업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을 거란 기대 때문입니다. 스택스의 출시 목적이 비트코인의 스마트 컨트렉트 도입하기 위해 개발된 것인데, 스마트 컨트렉트란 우리가 최초에 가상화폐에 대해 한 발상인 중간 중개자, 즉 사람의 개입없이 시스템만으로 거래를 하는 탈중앙화(DeFi) 거래계약을 의미합니다. 이 탈중앙화에 더욱 가깝게 다가갔기 때문에 큰 주목을 받고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트코인이 무너지지 않는 한, 스택스는 계속해서 발전해나갈 것이고 비트코인만 가격대를 유지해준다면 2023년에는 큰 급락없이 효자 코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