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사막 위 꿈의 도시, ‘네옴시티 더 라인’의 이상향과 한계

by 유야무야호 2023. 1. 7.
반응형

'네옴시티(Neom City)' : 너는 누구인가?

최근 국내 건설회사들의 수주 전쟁이라는 내용을 매스컴을 통해 접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하는 '네옴시티(Neom City)' 건설에 관한 것인데, 이 네옴시티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 모하메드 빈 살만(Mohammed bin Salman)이 후원하여 건설하는 초대형 메가시티 프로젝트입니다. 이 초대형 프로젝트의 건설 위치사우디아라비아 북서쪽 홍해에 맞닿는 부근이며, 예산은 총사업비 1조 달러(한화 약 1300조 원), 규모는 2만 6500㎢로서울 면적의 약 44배로 건설될 계획입니다. 

 

네옴시티 구성

네옴시티는 크게 세 가지 도시로 구성되며 100% 친환경에너지로

자급자족하는 미래도시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① 더 라인(The Line : 선형의 미러도시)

옥사곤(OXAGON : 바다 위 미래형 복합단지)

트로제나(TROJENA : 항구와 산악지대를 잇는 관광도시) 

이 중 특히 '더 라인'에 대해 깊게 논의해 보겠습니다.

 

 '더 라인(The Line)'

더 라인은 거울로 된 높이 500m(63 빌딩 250m,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450m, 그리고 롯데타워가 550m)의 200m 간격을 두고 산악지형을 길이 170km(서울~강릉거리)로 가로지른 형태이며, 두 거울벽 사이(200m)에 수직으로 도시가 형성될 예정입니다. 두 건물 사이에는 인공 숲과 강을 조성하고 집과 학교, 회사를 서로 연결하는 에어 택시와 고속철도가 들어섭니다. 또한 거대한 인공 달(moon)이 도시를 밝히며 친환경에너지를 사용해 1년 내내 도시 전체의 기온을 유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더 라인은 빈 살만이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서 영감을 받아 꿈꾸는 미래도시로, 건설 준비단계부터 준공 그리고 유지까지 모두 친환경 에너지만을 이용하는 '친환경 미래도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더 라인(The line)의 한계

웹 상에 공개되어 있는 드넓은 사막 위에 거대한 거울로 나타난 조감도와 투시도를 보면 하나의 거대한 추상조형물을 보는 것과 같이 매우 아름다워 보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환경적으로 크게 몇 가지 문제점이 있어 보입니다.

 

첫 번째, 햇빛입니다.

모래 외엔 거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사막의 끝에 롯데타워 높이의 벽 두 개 사이 좁은 길이 170km가 이어져 있다고 상상을 해보십시오. 그러나 실제로는 그랜드캐니언 사이의 좁은 협곡 맨 아래와 비슷한 이미지가 구현될 것 같습니다. 

사람에게 햇빛은 산소만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해당 계획안에서 과연 저층부까지 햇빛이 도달할지 의문이 듭니다. 계획안은 인공 달을 도입하여 도시를 비춘다 하는데, 달은 태양이 아닙니다. 그 어떤 인공조명을 적용해 도시를 밝힌다 할지라도 태양과 같지 않으며, 단지 조명일 뿐입니다. 또한 500m 높이의 벽체 사이 작은 협곡이라면 인공조명마저도 지나치게 눈부시거나 천문학적인 수량의 광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실제로 건설된다면 위의 사진과 같이 어둡고 축축한 슬럼가처럼 될 것입니다. 태양의 부재로 프로젝트 계획안에 보이는 식물들 또한 수종이 매우 제한적일 것입니다.

두 번째, 기압차입니다.

지상에서의 기압과 상공에서의 기압은 매우 큰 차이가 납니다. 이 공기 압력의 차이에 의해 높은 곳의 공기는 매우 빠른 속도를 내며 이동을 하는데 이 때문에 500m 초고층에 사는 주민은 매일 태풍과 같은 바람을 대비하며 살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계층의 문제입니다.

당연하던 자연이 이 도시에서는 혜택이 됩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층부에는 태양 빛의 도달이 어려울 것이며 조망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고층부에 거주하는 주민은 이를 눈에 보이는 부의 상징으로 이용할 것이며 저층부에 내려오려고 하지도 않을 것 같습니다. 분명한 것은, 암묵적으로 존재하던 사회의 서열이 매우 가시적으로 나타날 것이 자명합니다. 따라서 네옴시티로 이주한 주민들은 나서서 저층부로 이주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공실률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가지 않은 길인 만큼 많은 문제를 떠안고 있을 수밖에 없지만 프로젝트 착공 전까지 많은 문제들이 해결되어 합리적인 도시로 발돋움하길 기대합니다.

 

 

반응형

댓글